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요즘들어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어려운 용어가 등장합니다.
뉴스에서 "스테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라고 하면, 대체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발생원인에 대해서 쉽게 설명드릴게요!
1.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경기가 침체(정체)되면서도 물가는 계속 오르는 현상을 뜻합니다.
그리고 이 단어는 두 개의 경제 용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입니다.
> Stagnation(스택네이션) : 경기 침체(성장 멈춤)
> Inflation(인플레이션) : 물가 상승
일반적으로 경기가 나빠지면 사람들이 바깥에서 돈을 덜 쓰고 기업도 투자를 줄이면서
물가가 내려가야 정상이에요.
그렇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경기가 나쁜데도 물가가 올라 생활이 더 힘들어지는 상황이 됩니다!
2.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
스태그플레이션은 크게 2가지 원인때문에 발생하는데, 쉽게 설명드릴게요!
1) 공급 충격
- 물건이 부족하면 오르는 건 당연합니다.
- 여기에 경제활동까지 둔해지면, 사람들이 돈을 잘 못 벌게 됩니다.
예를들어, 닭이 아파서 달걀을 낳지 못한다면 사람들이 계란을 사려해도 달걀이 없어서 달걀 가격이 오릅니다.
계랸이 비싸지면 빵, 케이크, 김밥 등 계란이 들어가는 음식들도 같이 비싸집니다!
그러면 장 보기 부담되어 소비가 줄어들고, 경제 활동이 위축됩니다.
2) 과한 정책
- 정부와 중앙은행(한국은행, 미국 연준)이 경제를 살리고자 돈을 많이 풀면 물가가 오릅니다!
- 반대로, 물가를 잡으려고 급하게 금리를 올리면 경제가 더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정부에서 "모두에게 100만원씩 나눠줍시다!"라고 하면 사람들이 열광하겠죠~?
그런데 사람들이 돈이 많아지면, 더 많이 사려고 할 테고, 그럼 물건 값이 오릅니다!
"어? 물가가 너무 올랐네?" ---->>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려 소비를 줄이려고 합니다.
하지만 금리를 올리면 대출받은 사람과 기업이 부담을 느끼고, 경기가 둔화됩니다.
즉, 정부가 경기를 살리려다 돈을 너무 많이 풀거나, 금리 조절을 잘못하면 경제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경제는 나빠지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글에서 '스태플래이션'의 위험성, 어떻게 대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경제 금융 용어] ‘금리’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할랄프]에요~!! 오늘은 기초적인 용어이지만 매우 중요한 '금리'에 대해서 작성해보려고 해요! 바로 알아볼까요~?? 1. 금리란?금리의 어원을 살펴보면 라틴어 interesse에서 비롯
stroy-teller.tistory.com
[경제 금융 용어] ‘인플레이션’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랄프]에요! 저는 올해들어서 경제 및 금융 기사를 1개씩이라도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는데요, 도중에 궁금한 용어들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개인적인 내용이겠지만 여러분들
stroy-teller.tistory.com
[경제 금융 용어] ‘기축통화’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뉴스에서 "환율이 올랐다", "달러 강세다" 같은 말을 자주 들어보셨을거에요 그런데 왜 하필 달러가 기준이 되는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미국 달러가 세계에
stroy-teller.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경제 용어] '신자유주의'란 무엇일까? (5) | 2025.02.07 |
---|---|
[금융 경제 용어]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일까?(2부) (8) | 2025.02.06 |
[금융 경제 용어] '자유무역협정(FTA)'는 무엇일까? (2) | 2025.02.05 |
[금융 경제 용어] ‘기축통화’란 무엇일까? (3) | 2025.02.04 |
[금융 경제 용어] '소비자물가지수(CPI)'란 무엇일까? (1)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