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 경제 용어] ‘인플레이션’은 무엇일까?

세심한 랄프 2025. 1. 30. 19:02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세심한랄프]에요!

 

저는 올해들어서 경제 및 금융 기사를 1개씩이라도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는데요, 도중에 궁금한 용어들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개인적인 내용이겠지만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여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이라고 사전적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즉,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든다. 

 

예시) 고구마 1개로 옥수수 1개를 구매할 수 있지만 물가가 상승하여

         고구마 2개로 옥수수 1개를 구매해야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원인은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져 가격이 상승됨

   (ex.경기호황)

 

2)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원자재나 인건비 등 생산 비용이 증가하면서 기업이 가격을 올려 물가가 상슴됨 (ex.유가 상승)

 

3) 통화량 증가

  - 시장에 돈이 너무 많이 풀리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상승됨 (ex.중앙은행의 저금리 정책)

 

2. 역사적 사례

1973년과 1979년 발생한 오일 쇼크(석유파동)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인플레이션 발생했습니다.

 

당시 배경은 중동의 정치적 갈등으로 석유 공급이 급격히 감소하여 원유 가격이 급격히 등락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생산 비용이 상승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물가 상승되었습니다. (경기 침체+고물가 현상 = 스태그플레이션)

 

이에 대응방안으로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려 통화량을 조절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3.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 영향 및 대응책

 

우리나라는 외국으로부터 원자재를 수입하여 국내생산하는 구조가 대부분인것을 아실거에요~

 

이에 원자재 가격 상승 -> 기업 생산비 증가 -> 제품 가격 상승 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생필품 가격 급등, 금리 인상으로 대출 부담 증가, 소비 위축으로 경기 둔화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응책으로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해 통화량을 조절하거나, 정부에서 유류세/부가세 인하, 공공요금 조절 등 물가 안정 정책을 추진합니다. 

 

이처럼 인플레이션은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각국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고물가시대에 살아가는 모두 힘내세요!!

 

 

 

 

[경제 금융 용어] ‘금리’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할랄프]에요~!! 오늘은 기초적인 용어이지만 매우 중요한 '금리'에 대해서 작성해보려고 해요! 바로 알아볼까요~?? 1. 금리란?금리의 어원을 살펴보면 라틴어 interesse에서 비롯

stroy-teller.tistory.com

 

[경제 금융 용어] 'GDP(국내총생산)'이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오늘은 TV뉴스에서 흔히 나오고, 온라인 경제 뉴스를 보실 때 한 번쯤은 보셨을 GDP(국내총생산)에 대해 알아볼거에요~ 이 내용이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

stroy-teller.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