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오늘은 TV뉴스에서 흔히 나오고, 온라인 경제 뉴스를 보실 때 한 번쯤은 보셨을 GDP(국내총생산)에
대해 알아볼거에요~
이 내용이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바로 알아볼까요??
1. GDP(국내총생산) 의미
사전적 의미는 '국가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과 용역의 시장 가치의 합' 입니다.
예를들어, 23년 2분기 한국의 GDP 약 4,900억 달러(USD)였습니다.
이는 2023년 3월~6월 사이에 진행된 재화의 거래 또는 용역(서비스)의 가치들의 합이 4,900달러 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23년 2분기 GDP가 4,900달러 내용만 가지고 경제규모 및 성장한것인지 판단이 되지 않을것입니다.
그렇기에 보통 전년도 동기(2분기) 또는 전년도 전체 GDP와 비교하여 성장여부를 판단하고,
바탕으로 소비 또는 투자 등이 진행됩니다.
2. GDP(국내총생산)의 한계점
GDP는 한 나라의 경제 규모와 성장률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인것을 여러분도 아실겁니다.
그렇다면 한계점도 있다는 것도 아시나요??
1. 경제적 활동의 질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액을 측정하되 경제적 활동의 질이나 삶의 질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ex) 의료비 지출이 늘어나 GDP는 증가하지만 국민 건강이 나빠졌다는 의미가 될 수 있습니다.
2. 소득 분배의 불평등 반영 불가합니다.
- 경제 규모를 측정할 뿐, 국민 개개인의 소득 및 소비생활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3. 무보수 노동과 비공식 경제 활동 제외합니다.
- 공식적인 시장의 상품과 서비스만 포함하기에 무급노동(가사노동) 또는 비공식 경제활동(불법 거래 등)은
반영하지 않습니다.
4. 국민의 행복이나 복지 수준 반영이 부족합니다.
- GDP가 높다고 하여 국민들이 행복한 것은 아닙니다.
ex) 노동자들의 근무시간이 길어지고 스트레스가 심해진다면, GDP는 증가하되 삶의 만족도는 낮아질 수 있습니다.
GDP는 국가 경제 규모와 성장률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지만 삶의질, 소득 분배, 무보수 노동, 복지 수준 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GNI(국민총소득), HDI(인간개발지수), 행복지수 등의 지표들과 함께 활용 및 분석하여
실질에 근접한 지표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GDP(국내총생산)과 비슷한 용어
GDP와 비슷한 용어 중 GRDP(지역내총생산) 라는 것이 있습니다. 생소하신분들도 계실거에요~
간단히, 두 용어의 가장 큰 차이는 국가이냐 또는 특정 지역이냐(시, 도 등) 입니다.
그렇기에 세부 내용에 대한 차이도 비슷합니다.
예를들어, GDP(국내총생산) 목적이 '국가 경제 규모 및 성장률 분석'이라면,
GRDP(지역내총생산)은 '지역별 경제 규모 및 성장률 분석'과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GRDP가 높다는 것은 지역 재정자립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GRDP가 낮다면 지역 재정자립도가 낮아 중앙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GDP(국내총생산)의 의미, 한계점, GRDP(지역내총생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시간에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그리고 궁금했던 용어들이 있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경제 금융 용어] ‘인플레이션’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랄프]에요! 저는 올해들어서 경제 및 금융 기사를 1개씩이라도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는데요, 도중에 궁금한 용어들을 작성하려고 합니다!개인적인 내용이겠지만 여러분들에
stroy-teller.tistory.com
[경제 금융 용어] ‘금리’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할랄프]에요~!! 오늘은 기초적인 용어이지만 매우 중요한 '금리'에 대해서 작성해보려고 해요! 바로 알아볼까요~?? 1. 금리란?금리의 어원을 살펴보면 라틴어 interesse에서 비롯
stroy-teller.tistory.com
뱃살 제거를 위한 유산소 운동_1탄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들어가기 앞서, 새해를 맞아 올해는 뱃살을 제거하려고 다짐합니다.그럼 뱃살을 제거하기위해 복근운동을 해야 빠질 수 있는걸까요?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1.
stroy-teller.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경제 용어] '자유무역협정(FTA)'는 무엇일까? (2) | 2025.02.05 |
---|---|
[금융 경제 용어] ‘기축통화’란 무엇일까? (3) | 2025.02.04 |
[금융 경제 용어] '소비자물가지수(CPI)'란 무엇일까? (1) | 2025.02.04 |
[금융 경제 용어] ‘금리’란 무엇일까? (1) | 2025.01.31 |
[금융 경제 용어] ‘인플레이션’은 무엇일까? (5)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