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경제 17

[금융 경제 용어] "경제/비경제활동인구"는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경제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 그리고 경제활동참가율 입니다. 이 개념들은 국가의 고용 상태와 경제 흐름을 분석하는데 필수적인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번글에서는 이 개념들이 무엇이며 중요성과 현재의 경제상황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1. 경제활동인구란?2. 비경제활동인구란?3. 경제활동참가율이란?4. 경제활동인구와 경제활동참가율의 중요성5. 현재 한국의 경제활동참가율 트렌드 1. 경제활동인구란?경제활동인구란 일정 연령 이상의 인구 중에서 노동을 통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취업자와 실업자가 포함됩니다.취업자: 일정한 기간 동안 수입을 얻기 위해 노동을 제공하는 사람..

경제 2025.02.18

[금융 경제 용어] "코스닥(KOSDAQ)"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주식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라면 '코스닥'이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을 거에요 코스닥(KOSDAQ)은 한국의 대표적인 주식시장 중 하나로, "중소-벤처기업들이 상장하는 주식시장"입니다! 오늘은 코스닥이 무엇이며 상장요건, 투자 관련련하여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1. 코스닥(KOSDAQ)이란?2. 코스닥 시장의 특징3. 상장 요건4. 투자 방법5. 투자 시 주의할 점 1. 코스닥(KOSDAQ)이란? 코스닥(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은 미국의 나스닥(NASDAQ)을 본떠 1996년에 개설된 주식시장입니다. 코스닥은 한국거래소(KRX)가 운영하며, 코스피(KOSPI)와 함께 한국의 주요 주식시장 중 ..

경제 2025.02.18

[금융 경제 용어] "코스피"는 무엇일까?(2부)

안녕하세요! [세심할 랄프]에요~! 이번 글에서는 코스피 상장 요건 및 어떤 기업들이 들어가 있는지, 코스피가 오르내리는 이유, 코스닥과의 차이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코스피 상장 요건2. 코스피의 변동 이유3. 코스피/코스닥 차이4. 코스피 보는 방법 1. 코스피 상장 요건 코스피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한국거래소에서 정한 일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 기준에는 기업의 재무 상태, 사업 지속 가능성, 주주 보호 등의 요소가 포함됩니다. 대표적인 코스피 상장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본금 요건: 최소 300억원 이상의 자기자본을 보유해야 합니다.영업이익 요건: 최근 사업연도에 영업이익이 발생해야하며, 3년 편균 엽업이익이 30억원 이상이어야 합니다.시가총액 요건: 최소 1,000억원..

경제 2025.02.17

[금융 경제 용어] "코스피"는 무엇일까?(1부)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주식을 조금이라도 관심 가져본 사람이라면 "코스피가 올랐다", "코스피가 하락했다"는 말을 들어본적이 있을것입니다. 그렇다면 코스피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오늘은 코스피에 대해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목차1. 코스피란?2. 코스피 지수는 어떻게 계산될까?3. 코스피 지수는 왜 중요할까?1. 코스피란? 코스피(KOSPI)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로, 한국 종합주가지수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나라 대표 기업들의 주가를 한눈에 보여주는 지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코스피는 한국 증권거래소(현재의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며, 한국의 대기업과 주요 산업군을 포함하여 900개 이상의 기업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미국에는 다우존..

경제 2025.02.17

[금융 경제 용어] "경상수지"는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우리가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경상수지 흑자", "경상수지 적자" 같은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상수지가 무엇이며, 흑자와 적자의 상황, 중요한 이유 등 알아보겠습니다!  1. 경상수지란? 경상수지란(Current Account Balance)는 한 나라가 외국과 상품, 서비스, 투자소득 등을 주고받은 결과를 나타내는 경제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한 나라가 외국과의 거래에서 돈을 얼마나 벌고 쓰는지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상수지는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무역수지: 수출한 상품 금액 - 수입한 상품 금액서비스수지: 외국 관광객 유치, 운송 서비스 등에서 ..

경제 2025.02.15

[금융 경제 용어] "환율"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혼율은 우리가 해외 여행을 하거나 해외 직구를 할 때, 또는 경제 뉴스를 볼 떄 자주 접하는 개념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환율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환율이 무엇이며, 왜 변하는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1. 환율이란? 환율(Exchange Rate)이란 한 나라의 화폐를 다른 나라의 화폐로 교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1달러(USD)가 1,300원(KRW)이라면, 이 비율이 바로 환율입니다. 즉, 원화로 1달러를 사려면 1,300원이 필요하다는 뜻이죠! 환율은 보통 2가지 방식으로 표현됩니다.매매기준율: 은행에서 외화를 사고팔 때 기준이 되는 환율매수/..

경제 2025.02.14

[금융 경제 용어] '브릭스(BRICS)'는 무엇일까?(2부)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저번 글에서 브릭스(BRICS)가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글에서는 브릭스의 도전 과제 및 대안, 앞으로의 방향 및 전략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 브릭스(BRICS)의 도전 과제 및 대안❗ 1) 정치·경제적 차이민주주의 국가(인도, 브라질, 남아공) VS 권위주의 국가(중국, 러시아) → 정치적 의견 차이가 크다.각국의 경제 성장 속도와 안정성 차이 → 협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대안: 국가 간 정책 협력을 강화하고, 경제 협력에 초점을 맞춘 실용적인 협약을 추진해야한다. ❗ 2) 달러 의존도 문제브릭스(BRICS)는 미국 달러 의존도를 낮추려고 하지만, 아직 대체할 강력한 통화시스템이 부족하다.대안 1) BRICS 공동 화폐..

경제 2025.02.11

[금융 경제 용어] '브릭스(BRICS)'는 무엇일까?(1부)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세계 경제가 미국이나 유럽 중심으로 흘러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신흥 경제 강국들도 점점 더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것이 바로 "브릭스(BRICS)"입니다!! 오늘은 브릭스가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 필수 포인트를 정리해볼게요!  1. 브릭스란? 브릭스(BRICS)는 브라질(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중국(China),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 이렇게 5개국이 모여 만든 경제 협력체입니다. 원래는 BRIC(남아공 제외)으로 시작했지만,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합류하면서 BRICS가 되었으며, 빠르게 성장하는 신흥 경제 대국들이 모여 글로벌 영향을 키우기 위해 결성되었습니다. 즉, BRICS는 경제 규..

경제 2025.02.10

[금융 경제 용어] '콜금리'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혹시 금융 뉴스나 경제 기사에서 "콜금리"라는 말을 들어본적이 있으신가요? 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도 오르고, 금리가 낮아지면 경제가 활성화된다는 얘기를 들어보셨을거에요~ 그러면 '콜금리'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금리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오늘은 생소한 콜금리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1. 콜금리란? 콜금리는 은행들이 단기적으로 돈을 빌리거나 빌려줄 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은행도 우리처럼 돈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고객에게 받은 예금만으로는 갑자기 필요한 자금을 모두 감당할 수 없어요. 그래서 다른 은행에서 하루 또는 며칠 동안 돈을 빌리기도 하는데, 이때 적용되는 이자가 바로 '콜금리'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콜금리는 은행들끼리 돈을 빌릴 ..

경제 2025.02.10

[금융 경제 용어] '신자유주의'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세심한 랄프]에요~! 오늘날 뉴스나 정치 토렌에서 종종 등장하는 "신자유주의"라는 단어, 많이 들어보셨나요?? 어려운 경제 용어처럼 보이지만 사실 우리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자유주의가 무엇인지, 어떻게 등장했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신자유주의란 무엇일까 신자유주의(Neoliberalism)는 간단히 말해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시장의 자유를 극대화하자"는 경제 철학입니다. 기업들이 자유롭게 경쟁하면 경제가 발전하고, 그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간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합니다. 이전에는 정부가 경제를 적극적으로 조절하는 방식(ex. 복지 정책, 공기업 운영 등)이 일반적이었지만, 신자유주의는 규제 완화, 민영화, 자유 ..

경제 2025.02.07
728x90
반응형
LIST